본문 바로가기
Psychology today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경계선성격장애)

by 카우치 2020. 9. 27.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s a chronic condition that may include mood instability, difficulty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high rates of self-injury and suicidal behavior.

경계선성격장애는 정서불안,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해와 자살행위의 비율이 높을 수 있는 만성질환이다.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 is characterized by pervasive instability in mood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image, and behavior. This instability often disrupts family and work life, long-term planning, and an individual's sense of identity.

경계선성격장애는 정서, 대인관계, 자기 이미지, 행동의 불안정이 만연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불안정은 종종 가족과 직장생활, 장기간의 계획과 개인의 정체성에 지장을 준다.  

People with BPD, originally thought to be at the "border" of psychosis and neurosis, suffer from difficulties with emotion regulation. While less well known than schizophrenia or bipolar disorder, BPD affects 2 percent of adults. People with BPD exhibit high rates of self-injurious behavior, such as cutting and elevated rates of attempted and completed suicide. Impairment from BPD and suicide risk are greatest in the young-adult years and tend to decrease with age. BPD is more common in women than in men, with 75 percent of cases diagnosed among women.

원래 정신병과 신경증의 '경계'에 있다고 여겨졌던 경계선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감정조절에 어려움을 겪는다. 조현병이나 조울장애보다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경계선인격장애는 성인의 2%에 영향을 미친다. 경계선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자살 시도와 자살 미수율의 증가와 같은 자기 유해적 행동의 높은 비율을 보인다. 경계선성격장애로부터의 손상과 자살 위험은 젊은 성년기에 가장 크며 나이가 들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경계선성격장애는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더 흔하며, 여성에게서 75%가 진단되었다. 

People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often need extensive mental health services and account for 20 percent of psychiatric hospitalizations. Yet, with help, the majority stabilize and lead productive lives.

경계선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종종 광범위한 정신건강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정신과 입원의 20%를 차지한다. 그러나 도움을 받으면 대다수는 안정되고 생산적인 삶을 영위한다.

Symptoms

According to the DSM-5, individuals with BPD exhibit some or all of the following symptoms:

증상

DSM-5에 따르면, 경계선인격장애가 있는 개인은 다음 증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나타낸다. 

  • Efforts to avoid real or imagined abandonment.
  • Intense bouts of anger, depression, or anxiety that may last only hours or, at most, a few days. These may be associated with episodes of impulsive aggression, self-injury, and drug or alcohol abuse.
  • Distortions in thoughts and sense of self can lead to frequent changes in long-term goals, career plans, jobs, friendships, identity, and values. Sometimes people with BPD view themselves as fundamentally bad or unworthy. They may feel bored, empty, or unfairly misunderstood or mistreated, and they have little idea who they are. 
  • Recurrent suicidal behavior.
  • Transient, stress-related paranoid thinking, or dissociation ("losing touch" with reality). 

- 실제 또는 상상의 유기를 피하기 위한 노력

-분노, 우울 이나 불안의 격렬한 분출은 몇 시간 혹은 며칠밖에 지속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들은 충동적인 공격성, 자해, 그리고 약물이나 알코올 남용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생각과 자신의 감각 왜곡은 장기간 목표, 진로계획, 직업, 우정, 정체성과 가치에 빈번한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가끔 경계선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근본적으로 자신들을 나쁘거나 무가치하게 생각한다. 그들은 지루하고, 공허하거나 부당하게 오해받거나 학대받았다고 느낄 수 있고, 그들이 누구인지 거의 알지 못한다.

-   반복되는 자살행위

- 일시적, 스트레스관련 편집증적 사고 또는 분리 (현실과의 접촉을 잃음)

People with BPD often have highly unstable patterns of social relationships. While they can develop intense but stormy attachments, their attitudes toward family, friends, and loved ones may suddenly shift from idealization (great admiration and love) to devaluation (intense anger and dislike). Thus, they may form an immediate attachment and idealize another person, but when a slight separation or conflict occurs, switch unexpectedly to the other extreme and angrily accuse the other person of not caring for them at all.

경계선성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종종 사회관계의 매우 불안정한 패턴을 갖는다. 그들은 격렬하지만 폭풍우 치는 애착을 키울 수 있지만 가족, 친구,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을 대하는 태도가 갑자기 이상화(엄청난 감탄과 사랑)에서 평가절하(강렬한 분노와 혐오)로 바뀔 수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즉각적인 애착을 형성하고 다른 사람을 이상화할 수 있지만, 약간의 분리나 충돌이 일어날 때 느닷없이 다른 극단으로 전환하고 화를 내며 상대방을 전혀 배려하지 않는다고 비난하다. 

Most people can tolerate the ambivalence of experiencing two contradictory states at one time. People with BPD, however, must shift back and forth between good and bad states. If they are in a bad state, for example, they have no awareness of the good state.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 번에 두 개의 모순된 상태를 경험하는 양면성을 참을 수 있다. 그러나 BPD를 가진 사람들은 좋은 상태와 나쁜 상태 사이를 왔다 갔다 해야한다. 예를 들어 그들이 나쁜 상태에 있다면, 그들은 좋은 상태에 대한 인식이 없다. 

Individuals with BPD are highly sensitive to rejection, reacting with anger and distress to mild separations. Even a vacation, a business trip, or a sudden change in plans can spur negative thoughts. These fears of abandonment seem to be related to difficulties feeling emotionally connected to important people when they are physically absent, leaving the individual with BPD feeling lost or worthless. Suicide threats and attempts may occur along with anger at perceived abandonment and disappointments.

경계선인격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거부반응에 매우 민감하며 가벼운 분리 작용에 분노와 괴로움을 반응한다. 휴가나 출장, 갑작스러운 계획 변경에도 부정적인 생각을 부추길 수 있다. 이러한 유기에 대한 두려움은 중요한 사람들이 신체적으로 부재할 때 정서적으로 연결되어있다고 느끼는 어려움과 관련이 있어 경계선인격장애를 가진 사람이 상실되거나 가치가 없다고 느끼게 한다. 자살 위협과 시도는 인식된 버림과 실망에 대한 분노와 함께 발생할 수 있다. 

Causes

원인

Although the cause of BPD is unknown, both environmental and genetic factors are thought to play a role in predisposing people to BPD. The disorder is approximately five times more common among people with close biological relatives with BPD. 

경계선성격장애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진들 모두 사람들이 경계선성격장애로 향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장애는 경계선성격장애와 가까운 생물학적 친지들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대략 5배 더 흔하다.

Studies show that many individuals with BPD report a history of abuse, neglect, or separation as young children. Forty to 71 percent of BPD patients report having been sexually abused, usually by a noncaregiver.

연구는 경계선성격장애를 가진 많은 사람들이 어린아이로 써 학대, 방임, 또는 별거의 이력을 보고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경계선성격장애 환자의 40~71%는 주로 noncaregiver에 의해 성적학대를 받았다고 보고했다. 

Researchers believe that BPD results from a combination of individual vulnerability to environmental stress, neglect, or abuse as young children, and a series of events that trigger the onset of the disorder as young adults. Adults with BPD are also considerably more likely to be the victims of violence, including rape and other crimes. These incidents may result from harmful environments as well as the victims' impulsivity and poor judgment in choosing partners and lifestyles.

연구자들은 경계선성격장애가  환경스트레스에 대한 개별적 취약성, 어린 시절 방임이나 학대 그리고 젊은 시절 장애의 시작을 촉발하는 일련의 사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보고 있다. 경계선성격장애를 가진 성인들도 강간과 다른 범죄를 포함한 폭력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이러한 사건들은 피해자의 충동성과 파트너와 생활방식을 선택하는 데 있어 잘못된 판단뿐만 아니라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야기될 수 있다. 

Neuroscience is revealing brain mechanisms underlying the impulsivity, mood instability, aggression, anger, and negative emotion seen in BPD. Studies suggest that people predisposed to impulsive aggression have impaired regulation of the neural circuits that modulate emotion. The brain's amygdala, a small almond-shaped structur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circuit that regulates negative emotion. In response to signals from other brain centers indicating a perceived threat, it marshals fear and arousal, which may be more pronounced under the influence of stress or drugs like alcohol. Areas in the front of the brain, in the prefrontal cortex, act to dampen the activity of this circuit. Recent brain-imaging studies show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bility to activate regions of the prefrontal cortex thought to be involved in inhibitory activity predict the ability to suppress negative emotion.

신경과학은 경계선성격장애에서 볼 수 있는 충동성, 기분 불안정성, 공격성, 분노, 부정적인 감정의 기초가 되는 뇌의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있다. 연구들에 다르면 충동적인 공격성을 가진 사람들은 감정을 조절하는 신경회로에 대한 조절을 약화시켰다. 아몬드 모양의 작은 구조인 뇌의 편도체는 부정적인 감정을 조절하는 회로의 중요한 구성 요소다. 인지된 위협을 나타내는 다른 뇌 중추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그것은 스트레스나 술과 같은 약물에 의해 더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는 공포와 흥분 상태를 완화시킨다. 뇌의 앞부분, 전두엽 피질에서 이 회로의 활동을 위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최근 뇌영상 연구는 억제 활동에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전두엽 피질의 영역을 활성화하는 능력의 개별적인 차이가 부정적인 감정을 억제하는 능력을 예측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Serotonin, norepinephrine, and acetylcholine are among the chemical messengers in these circuits that play a role in the regulation of emotions, including sadness, anger, anxiety, and irritability. Drugs that enhance brain serotonin function may improve emotional symptoms in BPD. Likewise, mood-stabilizing drugs that are known to enhance the activity of GABA, the brain's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may help people who experience BPD-like mood swings. Such brain-based vulnerabilities can be managed with help from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medications, much as people manage susceptibility to diabetes or high blood pressure.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 아세틸콜린은 슬픔, 분노, 불안, 자극성을 포함한 감정 조절에 역할을 하는 이들 회로의 화학적 전달자들 중 하나이다. 뇌 세로토닌 기능을 강화한 약물은 경계선성격장애의 정서적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뇌의 주요 억제 신경전달물질인 GABA의 활동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기분 안정제는 경계선성격장애와 같은 기분전환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뇌 기반 취약성은 사람들이 당뇨병이나 고혈압에 대한 민감성을 관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행동 개입과 약물의 도움을 받아 관리할 수 있다. 

Treatment

치료

The recommended treatment for BPD includes psychotherapy, medication, and group, peer, and family support. Group and individual psychotherapy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forms of treatment for many patients. Psychotherapy is the first line treatment for BPD, and several forms of therapy, such as 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 (DBT), mentalization based therapy (MB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and psychodynamic psychotherapy, have been studied and proven to be effective ways to alleviate symptoms. 

경계선성격장애의 권장 치료법은 심리치료, 약물치료, 그롭, 동료, 가족지원 등이다. 집단과 개인 심리치료는 많은 환자들에게 효과적인 치료의 형태임이 밝혀졌다. 심리치료는 경계선성격장애의 제1선 치료법이며 변증법적 행동치료, 정신화 기반 치료, 인지행동치료, 심리 역학 치료법등 여러 형태의 치료법이 연구되어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적인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Pharmacological treatments are often prescribed based on specific target symptoms shown by the individual patient. Antidepressant drugs and mood stabilizers may be helpful for depressed and/or labile mood. Antipsychotic drugs may also be used when there are distortions in thinking.

약리학적 치료는 흔히 개별 환자가 보여주는 특정 표적 증상에 근거하여 처방된다. 항우울제 약물과 기분 안정제는 우울증 및 / 또는 활동적인 분위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항정신병 약물 또한 사고방식에 왜곡이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다. 

References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

Last updated: 02/22/2019

출처- www.psychologytoday.com/us/conditions/borderline-personality-disorder

'Psychology today'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es Nostalgia Make You Happy or Sad?  (0) 2020.09.15